혼돈의 부동산 시장, 어디로 가나
2022 부동산 트렌드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올해도 등장할 것이다. 자주 바뀌는 부동산 정책과 얽히고설킨 이해관계 속에서 부동산 시장을 전망하기가 어렵다.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가 알투코리아부동산투자자문, 한국갤럽조사연구소와 함께 제시한 ‘2022 부동산 트렌드’ 속 3대 부동산 핵심 키워드와 이를 토대로 한 건설·부동산 산업 8대 트렌드에서 그 힌트를 얻어본다.

2022 부동산 트렌드 3대 키워드

균열의 MZ_ MZ세대가 아파트 시장의 주요 수요층으로 부상한 점에 주목하고, 학력과 소득,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다양한 수요층으로 분산되는 MZ세대 특성을 반영했다.

제한적 다양성_ 아파트의 가격 급등으로 주택에 대한 소비자의 질적 요구 수준이 높아지고, 코로나19 이후 주택의 활용성이 커졌지만, 주택 수요는 아파트라는 틀에 제한된 트렌드를 보인다.

비움 HOME_ 공급자 중심의 건설·부동산 산업이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며, 소비자 재량권을 확대할 수 있는 공간과 인테리어가 늘어난다.

2022 건설·부동산 산업 8대 트렌드

한계 MZ_ 올해는 아파트 가격 안정, 금리 인상으로 대출상환액 증가 시 자산가치 하락으로 영끌, 빚끌로 아파트를 패닉바잉한 MZ세대가 패닉셀링으로 방향을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주택 미보유 MZ세대는 공공택지 분양에 적극적으로 도전하며 MZ세대의 부동산 시장 영향력은 확대된다.

컴온(Come on) 도시_ 온라인 산업 중심의 첨단산업이 발달하면서 서울과 대도시권으로 도시 집중 현상이 심화하며 지역 간 양극화가 심해진다. 유튜버, 인플루언서, 웹툰 작가 등 새로운 직업과 본업과 부업을 겸하는 N잡러 청년층은 기회의 땅인 도시에서 직주근접성과 생활의 편리함을 갖춘 주택을 찾는다.

무아지경_ 코로나19 이후 주택의 기능적 확장과 소비자의 높은 질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아파트를 맹목적으로 선호하는 현상이 심화하며, 젊은 층일수록 아파트를 선택한다. 자연 친화적인 야외 정원, 다양한 공간, 높은 층고, 자산가치 등 아파트와 오피스텔에 단독주택과 타운하우스의 장점을 녹인 주택 상품이 인기를 끌 것이다.

연령대별 아파트 선호 비중(%)

자료 출처: 2022 부동산 트렌드 설문조사

오피스텔, 니치에서 매스로_ 전통적 틈새 상품인 오피스텔이 트렌드와 제도 완화 수혜를 통해 니치에서 매스 상품이 될 전망이다. 인구의 도시 집중, 청년층의 직주근접 선호, 도심의 주택 수요 급증으로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공급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도 바닥난방 허용, 건축면적 확대, 매입임대주택 허용 등으로 간접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룸형 오피스텔 일색에서 아파트 수요를 대체할 3~4인 가족 단위 오피스텔의 공급이 증가할 전망이다.

희망과 현실 사이 10평형_ 팬데믹 시대의 도래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 증가, 주택 활용 다양화, 보유 가전제품 종류와 크기 증가 등으로 40평형대에 대한 선호도가 커졌다.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실제 구매 면적은 30평형대에 머물며 희망과 현실 면적 사이 10평형의 갭이 발생한다. 2022년은 그 10평형을 채우기 위한 공간 배치와 인테리어가 트렌드가 된다.

플래닛 홈(Plate and eat at home)_ 먹는 즐거움보다 보는 즐거움, 조리 시간보다 가족과 함께하는 식사시간이 중요해지는 경향이 증가한다. 가정간편식 활용이 늘고, 집에서도 예쁘게 차려 먹기를 희망하면서 거실과 주방과 분리된 다이닝룸에 대한 선호도와 활용도가 커진다.

임팩트 인테리어_ 유행을 따르기보다 나의 개성을 잘 표현해주는 한 가지, 가령 작은 공간, 가구, 조명, 소품이 중요해진다. 이 흐름에 따라 인테리어 시장은 다품종 소량생산 온라인 마켓이 주도할 전망이다. 건설사는 비움의 콘셉트로 전반적인 톤을 단순화하고 정돈하는 베이스 인테리어에 집중하고, 소비자에게 인테리어의 주도권을 넘길 전망이다.

ESG, 진전과 반전_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ESG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탄소 중립을 위한 제도를 정비하고 있고, 소비자는 친환경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높아지고 있다. 반면 기업의 중대재해에 대한 대응이나 한 단지에 분양 아파트와 임대 아파트를 함께 조성하는 소셜믹스 등 자산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사회적 가치에 대한 실천은 부족한 게 현실이다. ESG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공감대는 진전되는 반면 구체적 실천 면에서는 반전을 보이는 경향이 크다.

편집부 참고 및 발췌 알투코리아부동산투자자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등록

이름은 전체공개되며, 닉네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이미지 업로드는 10 MB까지 가능합니다.